소셜파이가 크리에이터 경제의 다음 트렌드가 될까?
소셜파이가 크리에이터 경제의 다음 트렌드가 될까?
  • 유단일
  • 승인 2025.08.06 14: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디지털 상호작용과 경제적 통합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소셜파이(SocialFi)가 새로운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다. 소셜 네트워크와 탈중앙화 금융(DeFi)을 결합한 소셜파이 플랫폼은 사용자들에게 개인정보에 대한 더 큰 통제권을 제공하며, 수익 창출의 새로운 기회를 열어주려 한다. 이 움직임은 점차 주목받고 있지만, 크리에이터 경제의 다음 큰 동력이 될 수 있을 만큼 지속 가능한 모멘텀을 가질 수 있을지는 지켜봐야 한다.                                       

이그나시오 팔로메라

소셜파이의 이해

웹3 인재 생태계의 선두주자인 본덱스(Bondex)의 CEO 이그나시오 팔로메라(Ignacio Palomera)는 소셜파이를 이해하는 데 귀중한 통찰을 제공한다. 그는 “‘소셜파이’는 단순한 ‘소셜 미디어’와 ‘DeFi’의 결합이 아니라, Web2 소셜 미디어의 데이터 소유권, 검열, 낮은 수익 창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움직임”이라고 설명한다. 소셜파이는 "창출된 가치의 소유권은 누구에게 있나?"라는 질문에서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은 전통적인 Web2 플랫폼과 새로운 소셜파이 모델 간의 뚜렷한 차이를 보여준다. 블록체인 기술로 지원되는 소셜파이 모델에서는 거래와 상호작용이 투명하고 변화하지 않으며, 사용자보다는 플랫폼에 집중된 가치와 통제권이 재분배된다. 이 변화는 신뢰와 공정성을 바탕으로 생태계를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수익 창출의 매력

소셜파이의 가장 매력적인 측면 중 하나는 수익 창출을 재정의할 가능성이다. 팔로메라는 “소셜파이는 소셜 및 앱 내 유틸리티 토큰을 통해 수익 창출을 재구상하며, 이를 통해 다층 경제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모델은 창작자들이 브랜드를 보다 직접적이고 효율적으로 수익화할 수 있도록 돕는다”고 말한다.

그러나 팔로메라는 많은 소셜파이 프로젝트가 투기에 치중하고 유틸리티에 집중하지 못해 실패했다고 지적한다. 문제 해결에 실패한 플랫폼은 사용자들이 빠르게 이탈하게 된다. “본덱스에서는 경제적 연결의 가치를 잘 이해하고 있다. 일자리를 구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며, 사용자들은 취업 기회를 위해 불편함을 감수할 준비가 되어 있다. 우리는 이런 핵심 요구에 초점을 맞추고 경제적 가치를 최우선으로 삼아 플랫폼을 확장했다."고 설명한다.

도전과 해결책

소셜파이의 미래는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 이를 위해 소셜파이 플랫폼은 자유와 책임의 균형을 맞춰야 한다.

팔로메라는 “탈중앙화는 중앙집중적 검열에서 벗어나 표현의 자유를 재정의할 기회를 제공한다. 하지만 진정한 자유는 책임을 포함한다. 대부분의 소셜파이 플랫폼은 조절을 회피하려고 하며, 이는 플랫폼의 사용성을 저해한다. 해답은 더 많은 분산화가 아니라 더 스마트한 분산화이다. 권력을 군중이 아닌 커뮤니티에 부여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소셜파이의 이야기는 아직도 진행 중이지만, 창작자 경제에 새로운 장을 여는 기회를 제공한다. 소셜 미디어 플랫폼의 뿌리 깊은 문제를 해결하고 투기가 아닌 실제 유틸리티에 기반한 수익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창작자들이 자신의 노력에 대한 직접적인 혜택을 얻을 수 있도록 돕고 있다.

그러나 소셜파이가 주류 트렌드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단순한 유행을 넘어 일상적인 온라인 상호작용에서 실제로 유용하게 활용되어야 한다. 플랫폼은 검열, 조절, 공정한 가치 배분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해야 하며, 가치가 단순히 창출되는 것뿐만 아니라 공평하게 공유되는 커뮤니티 주도의 환경을 육성해야 한다.

영문버전 보기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ABOUT
  • CONTACT US
  • SIGN UP MEMBERSHIP
  • RSS
  • URL : www.koreaittimes.com | Tel : +82-2-578- 0434 / + 82-10-2442-9446 | North America Dept: 070-7008-0005
  • Email : info@koreaittimes.com | Publisher. Editor :: Chung Younsoo
  • Masthead: Korea IT Times. Copyright(C) Korea IT Times,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