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생성형 AI 로드맵 공개… 플랫폼 ‘GaiA’로 AI 전환
SK하이닉스, 생성형 AI 로드맵 공개… 플랫폼 ‘GaiA’로 AI 전환
  • 정소연
  • 승인 2025.08.14 10: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가이아 통해 맞춤형 AI 에이전트 개발... 제조 공정·임직원 업무 효율성 제고
DT(Digital Transformation)를 중심으로 한 AI 전환(AIX) 활동/ SK하이닉스 제공
DT(Digital Transformation)를 중심으로 한 AI 전환(AIX) 활동/ SK하이닉스 제공

SK하이닉스가 글로벌 AI 인프라 공급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강화하는 동시에, 사내 디지털 전환을 위한 인공지능(AI) 생태계를 본격 구축하고 있다. 핵심은 반도체 업무에 특화된 생성형 AI 플랫폼 ‘GaiA(Generative AI Assistant)’다.

회사는 AI 기반의 업무 효율화와 혁신을 가속화하기 위해 ‘GaiA’를 중심으로 한 AI 플랫폼과 다양한 서비스를 단계적으로 도입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전사적 AI 전환(AIX)을 추진 중이다.

<>반도체 맞춤형 AI 플랫폼 ‘GaiA’… 부서별 AI 에이전트 구현

GaiA는 반도체 제조 공정에 최적화된 생성형 AI 플랫폼으로, 임직원의 창의성과 업무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개발됐다. 이 플랫폼은 각 부서와 업무에 맞는 맞춤형 AI 에이전트를 구현할 수 있으며, 업무 흐름에 인간의 피드백을 반영하는 ‘휴먼 인 더 루프’ 체계도 갖췄다.

이를 바탕으로 SK하이닉스는 지난 7월 장비 보전, 글로벌 정책 분석, 인사 제도, 회의 지원 등 4종의 ‘비즈니스 특화 AI 에이전트’를 베타 공개했다. 이들 서비스는 생산 및 양산 현장에서 실제 적용되며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이와 함께 8월 초에는 구성원 전용 생성형 AI 서비스인 ‘LLM Chat’도 시범 운영을 시작했다. 해당 서비스는 사내 보안망 내에서 안전하게 운영되며, 사내 지식 기반 질의응답을 통해 업무를 지원한다.

또한, SK텔레콤과 협력해 개발 중인 범용 AI 비서 서비스 ‘에이닷 비즈(A.Biz)’도 오는 11월 정식 출시 예정이다. 이 서비스는 보고서 작성과 회의록 정리는 물론, 구매·채용·세무 등 전문 영역까지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생성형 AI 로드맵 따라 기술 고도화… A2A로 진화

SK하이닉스는 ‘GaiA’를 포함한 생성형 AI 플랫폼 및 서비스를 자사 로드맵에 따라 순차적으로 고도화하고 있다. 로드맵에 따르면 회사는 ▲2023년 네이티브 RAG+LLM 도입을 시작으로, ▲2024년 에이전트 및 도구 연동, ▲2025년 에이전틱 AI 구현, ▲2025년 하반기 에이전트 오케스트레이션 기술까지 적용할 계획이다.

특히 올해 도입한 ‘비즈 특화’ 서비스는 에이전틱 AI 기술이 적용된 대표 사례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에이전트를 제작해 복잡한 업무도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회사는 향후 이 시스템을 더욱 고도화해 에이전트 간 협업이 가능한 A2A(Agent to Agent) 체계로 진화시킬 방침이다.

A2A는 각 AI 에이전트가 역할을 나눠 자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으로, 이를 위해 SK하이닉스는 ‘에이전트 오케스트레이션’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향후 계획으로는 GaiA 기반의 모든 생성형 AI 서비스(LMM Chat, 에이닷 비즈, 비즈 특화 에이전트 등)를 하나로 통합하고, 팹(Fab) 내 모든 시스템을 연결하는 스마트팩토리 구현까지 추진한다는 구상이다.

SK하이닉스는 지난 2017년 국내 제조업 최초로 데이터 사이언스 조직을 신설하고,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문화를 내재화해왔다. 2024년에는 AIX 전문팀을 구성해 AI 기반의 업무 혁신 기반을 더욱 견고히 했다.

회사 관계자는 “생성형 AI 기술은 단순한 도구를 넘어, 반도체 산업 전반의 혁신을 이끄는 핵심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며 “올해는 에이전틱 AI의 고도화와 에이전트 간 협업 시스템 구축을 통해 새로운 AI 혁신의 전기를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SK하이닉스는 자사 뉴스룸을 통해 향후 GaiA 기반의 AI 서비스 3종과 구체적인 구현 사례를 순차적으로 공개할 예정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ABOUT
  • CONTACT US
  • SIGN UP MEMBERSHIP
  • RSS
  • URL : www.koreaittimes.com | Tel : +82-2-578- 0434 / + 82-10-2442-9446 | North America Dept: 070-7008-0005
  • Email : info@koreaittimes.com | Publisher. Editor :: Chung Younsoo
  • Masthead: Korea IT Times. Copyright(C) Korea IT Times,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